-
이동평균선이란? / 주가와 거래량 이동평균선주식 2016. 8. 2. 21:30
이동평균선이란?
기간별 평균 주가를 산출하여 선으로 이어 그린 선그래프. (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한다. )
주가가 어떤 흐름을 가지고 움직였는지 알려주는 과거의 행적이기도 하다
1. 주가 이동평균선
위 정의에서도 볼 수 있듯 기간별 평균 주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산출 기간에 따라 200일, 120일, 60일, 20일, 10일, 5일 선 등으로 세분화 된다
5일선 : 장이 일주일간 열리므로 일주일간의 평균 주가.
20일선 : 1달 동안의 평균주가.
60일선 : 3달 동안의 평균주가.
120일선 : 6달 동안의 평균주가.
5일, 20일 : 단기이동평균선 / 60일, 120일 : 중기이동평균선 / 200일 이상 : 장기이동평균선
그리고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나 MTS에서의 차트에서는 보통 5, 20, 60, 120일선의 이동평균선이 표시되며 임의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5일 선과 10일선은 단기 매매선.
주가는 돌발 재료 뿐 아니라 이유가 없을 때에도 등락을 반복함.
주가가 강세일 때 - 10일 선 위에서 10일선 이탈치 않고 5일 선 위에서 상승
주가가 약세일 때 - 10일선을 상향 돌파 하지 못하고 5일선 아래에서 하락
20일선은 심리선.
주로 투자자의 심리에 의해 움직인다고 해서 심리선이라 부름.
주가가 상승추세일 때 - 20일선 하락 이탈 드물다
주가가 하락추세일 때 - 20일선을 상향 돌파하지 못한다
60일선은 수급선.
중기 추세를 나타내는 데 이 선의 방향을 결정하는 요인은 수급적인 요인이 크다고 보기 때문에 수급선이라고도 한다
120일선과 200일선은 경기선.
주가는 경제 또는 경기를 반영하는 거울과 같기 때문에 장기 추세인 120일선과 200일선은 경기사이클과 유사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중장기 투자판단에 활용.
( 명칭은 붙이기 나름이지만 매매방법에 따라 참고하는 이평선이 단기가 될 수도 중기가 될수도 있으며, 주가는 등하락을 계속해서 반복하기 때문에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 참고하시길. )
2. 거래량 이동평균선
주가 이평선과 같이 기간별로 거래량의 평균을 내서 그린 선.
주가는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매입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때 주가가 상승하며 이에 따라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매입 수요가 감소하여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거래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원리에 의해 주가 예측을 하고자 거래량 이평선도 많이 활용함.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파생상품 거래 신청하는 방법 - 키움증권 HTS / MTS (0) 2016.08.19 주가 이동평균선의 움직임 - 골든,데드 크로스 / 정배열,열배열 (0) 2016.08.17 캔들의 구성과 이해 / 주식 기초 (0) 2016.07.26 주식초보공부하기 / 주식 용어 정리 (0) 2016.07.23 연계계좌 입출금 및 증거금률 설정 / 주식시작하기 ② / 키움 (0) 2016.07.20